초등학생도 이해하는 경제용어
이번에는 가상화폐를 처음 만드는 방법인 ‘ICO’, 금융의 구조와 종류, 그리고 세금의 구분, 세계 금융감독기구와 통계의 민감도를 다뤄볼게요!
안녕하세요! 잘 벌고 잘 노는 다람다람입니다. 이번엔 조금 더 전문적인 경제 용어들에 도전해보겠습니다. ‘ICO’나 ‘감응도계수’처럼 처음 듣는 말들도 있겠지만, 걱정 마세요! 오늘도 알기 쉽게, 재미있게 풀어드릴게요. 한 줄 한 줄 따라오다 보면 뉴스가 더 가깝게 느껴질 거예요. 오늘도 같이 경제 공부 시작합니다.
목차
1. 가상통화공개(ICO)란 무엇일까?
‘가상통화공개(ICO, Initial Coin Offering)’는 가상화폐(코인)를 처음 만들어서 사람들에게 파는 일이에요. 마치 회사가 주식을 처음 공개(기업 공개, IPO. Initial Public Offering)하는 것처럼, 코인도 처음 공개하는 거예요.
ICO를 통해 모인 돈으로 새로운 코인을 개발하거나 프로젝트를 진행하죠. 하지만 잘못된 ICO도 많아서 투자할 땐 신중하게, 조심해야 해요!
2. 간접금융과 직접금융의 차이
‘간접금융’은 은행과 같은 금융 기관을 통해 돈을 주고받는 방식이고, ‘직접금융’은 은행 없이 바로 주식이나 채권으로 돈을 거래하는 방법이에요. 주식과 채권에 대해서도 나중에 자세하게 다루어볼게요!
구분 | 예시 |
---|---|
간접금융 | 은행 예금, 대출 |
직접금융 | 주식, 채권 투자 |
3. 간접세와 직접세는 무엇이 다를까?
‘간접세’는 물건값에 포함되어 우리가 모르게 내는 세금, ‘직접세’는 월급처럼 내가 직접 내는 세금이에요.
- 직접세 → 소득세, 재산세
- 간접세 → 부가가치세, 술·담배세
4. 감독자협의회는 무슨 일을 하나요?
‘감독자협의회’는 세계 여러 나라의 금융 감독 기관들이 모여서 함께 논의하고 규칙을 만드는 모임이에요. 복잡한 금융 문제를 각 나라가 함께 해결하려는 목적이 있죠.
마치 학교에서 반장들이 모여서 운동회 규칙을 정하는 것처럼, 나라를 대표하는 금융 감시자들이 모여 세계적인 규칙을 논의한다고 합니다. 금융 기관들의 활동은 전 세계적인데, 규제하고 감독하는 일은 금융기관이 소속된 나라나 지역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한계를 개선하고자 설됩되었어요.
5. 감응도계수? 숫자가 얼마나 민감한지 알려줘요!
‘감응도계수’는 어떤 숫자가 다른 변수(요인)에 얼마나 영향을 받는지를 나타내는 수치예요. 가격이 조금만 올라가도 소비가 확 줄어들면, 감응도계수가 높은 거예요!
상품 | 감응도계수 특징 |
---|---|
사치품 | 가격에 아주 민감 → 감응도 높음 |
쌀, 라면 | 가격이 올라가도 계속 사야 함 → 감응도 낮음 |
- 숫자가 민감하면 → 감응도계수 ↑
- 민감하지 않으면 → 감응도계수 ↓
IPO는 주식을, ICO는 코인을 처음 판매하는 거예요. ICO는 인터넷 기반이고, 규제가 적은 게 차이점이에요.
은행이 중간에서 돈을 관리해주기 때문에 초보자에게는 간접금융이 더 안전할 수 있어요.
어떤 세금은 바로 내고(직접세), 어떤 건 물건값에 숨어 있어서 몰래(?) 내기 때문에 간접세라고 불러요.
우리나라 금융감독원도 국제 회의에 참여해요. 함께 규칙을 만들고 협력한답니다.
가격이 바뀔 때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야, 정부가 세금이나 가격 정책을 제대로 만들 수 있어요.
오늘은 다소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는 ‘ICO’, ‘감응도계수’, ‘감독자협의회’ 같은 전문 용어들을 쉽게 풀어봤어요. 알고 보면 이 개념들은 우리 경제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세금이 어떻게 걷히는지, 금융이 어떻게 흘러가는지를 이해하는 데 꼭 필요한 퍼즐 조각과도 같은 단어였습니다.
처음 듣는 말일수록 더 자세히 알고 싶어지는 게 경제 공부의 재미죠! 오늘 내용을 찬찬히 읽으셨다면, 이제 여러분도 작은 경제 전문가라고 할 수 있어요. 다음 단어들도 기대해 주세요 :)
#가상통화공개 #ICO #간접금융 #직접금융 #간접세 #직접세 #감독자협의회 #감응도계수 #경제용어해설 #초등경제교육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은행 경제 금융 용어 700선 정복 6탄 (0) | 2025.04.22 |
---|---|
한국은행 경제 금융 용어 700선 정복 5탄 (0) | 2025.04.22 |
한국은행 경제 금융 용어 700선 정복 4탄 (0) | 2025.04.19 |
한국은행 경제 금융 용어 700선 정복 2탄 (0) | 2025.04.18 |
한국은행 경제 금융 용어 700선 정복 1탄 (0) | 2025.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