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한국은행 경제 금융 용어 700선 정복 1탄

by punchdaram 2025. 4. 18.

초등학생도 이해하는 경제용어 

안녕하세요! 잘 벌고 잘 노는 다람다람입니다. 저는 사실 스스로에게 숙원 사업과 같은 과제를 가지고 있는데요, 바로 한국은행에서 발행한 경제 금융 용어 700선 모두 읽어보기! 그치만 일에 치이다보면 귀찮아질 때고 있고 해서 어느 순간부터 잘 안 읽게 되고, 무엇보다 내용이 어려워서 잘 안 읽게 되더라구요...하지만 마음 먹었으니 쭉 공부해볼 겸, 이제부터 블로그 글을 작성해보고자 합니다.

 

제가 몇 개 단어를 읽으며 느꼈던 어려움은 말 자체가 '어렵다'는 것이었어요. 그래서 최대한 쉽게,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정리해보고자 이 블로그 연재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부모님들이, 혹은 스스로가 매달 얼마나 벌고, 얼마나 쓰고, 얼마나 저축하고 있는지 기록하고 있나요? 사실 이런 걸 정부에서도 통계로 내고 있어요. 이름은 어렵지만, 알고 보면 우리 집 경제를 점검하는 데 아주 유용한 정보들인, 다섯 가지 중요한 ‘가계’ 관련 용어를 정리해보겠습니다. 함께 공부해봅시다.

가계부 작성! 잘 하고 계신가요? 저는 이번 달 월급을 받으면 3월 이후로 손을 놓았던 가계부를 다시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1. 가계부실위험지수(HDRI)는 어떤 수치일까?

‘가계부실위험지수(HDRI)’는 우리 집이 돈을 잘 갚을 수 있는지, 위험한 상태는 아닌지를 나타내는 숫자라고 합니다. 숫자가 높을수록 ‘빚이 많아서 갚기 힘들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월급은 적은데 대출은 많다면 HDRI는 높아지고, 그만큼 위험하다는 신호예요. 가정의 건강검진 같은 지표라고 생각하면 쉬울 것 같습니다.

2. 가계수지, 우리집 돈 흐름 체크!

‘가계수지’는 가정에서 한 달 동안 얼마나 벌고, 얼마나 쓰고, 얼마나 남겼는지를 보여주는 돈의 흐름이에요. 수입과 지출, 그리고 저축이 어떻게 됐는지를 알 수 있어요. 모두 가계부를 쓸 때 주로 들어가는 항목들이네요.

항목 내용
수입 월급, 용돈, 이자 등
지출 식비, 교통비, 통신비 등
저축 남은 돈을 저금

3. 가계순저축률이란?

‘가계순저축률’은 전체 소득 중에서 얼마를 저축했는지를 퍼센트로 나타낸 숫자예요. 높을수록 저축을 많이 했다는 뜻이에요.

  • 월급 100만 원 중 30만 원 저축 → 30% 순저축률!
  • 이 비율이 낮으면 돈을 다 써버렸다는 의미!

저축...우선 자본이 없다면 저축을 통해 착실하게 모으는 기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4. 가계신용통계는 왜 중요할까?

‘가계신용통계’는 우리나라 모든 가정이 얼마나 돈을 빌렸는지, 신용카드를 얼마나 썼는지를 모아 놓은 통계입니다. 즉 빚이 얼마나 쌓였는지를 알려주는 지표예요.

예를 들어, 은행 대출, 카드값, 할부금 같은 게 모두 포함돼요. 이 수치가 너무 높아지면 나라 전체가 ‘빚 부담’이 커진다는 경고일 수 있어요!

5. 가계처분가능소득이 뭐예요?

‘가계처분가능소득’은 세금, 건강보험 같은 걸 다 내고 나서, 가정에서 마음대로 쓸 수 있는 실제 금액을 말해요. 말 그대로 ‘쓸 수 있는 돈’이죠.

소득 항목 금액
총소득 300만 원
세금 및 공제 50만 원
처분가능소득 250만 원
  • 이 돈으로 식비, 용돈, 저축 등을 할 수 있어요
  • 생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소득이에요

 

Q HDRI가 높으면 위험한 건가요?

네, 빚이 많고 소득이 적을수록 HDRI는 높아져요. 돈을 갚기 힘든 상태라는 뜻이죠.

Q 가계수지는 어떻게 확인할 수 있나요?

정부 통계청이나 한국은행에서 매 분기마다 발표하는 자료를 보면 알 수 있어요!

Q 가계순저축률이 낮으면 안 좋은가요?

그럴 수 있어요. 돈을 많이 벌어도 다 써버리면 나중을 대비하기 어려워지거든요.

Q 가계신용통계는 누가 만드나요?

한국은행에서 매 분기마다 발표해요. 전국 가계의 신용 상태를 한눈에 볼 수 있어요.

Q 가계처분가능소득은 어떻게 쓰이나요?

생활비, 저축, 소비에 쓰이는 실제 돈이에요. 경제 정책도 이 수치를 참고해 만들어져요.

 

오늘은 한국은행 경제용어 700선 중 가장 첫 단어 5개, ‘가계’ 관련 용어들을 살펴봤어요. 하지만 하나하나 풀어보니 우리 생활과 아주 밀접한 단어들이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우리 가족의 경제 상태를 보여주는 ‘지표’들은 우리가 돈을 어떻게 쓰고 있는지, 얼마나 저축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도와줘요. 어렵다고 생각했던 용어들이 이제는 친근하게 느껴졌으면 좋겠어요!

 

이렇게 하나씩 배워가면 경제 뉴스도 훨씬 잘 이해하게 될 거라고 확신합니다. 저의 경제용어 700선 정복기 끝까지 지켜봐주세요!

 

#가계부실위험지수 #HDRI #가계수지 #가계순저축률 #가계신용통계 #가계처분가능소득 #경제지표 #가정경제 #어린이경제 #쉬운경제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