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도 이해하는 경제용어 - ‘고용과 금융 안전’ 편
이번 시간에는 금융기관에서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고객확인절차(KYC)’와, 사람들이 얼마나 일자리를 가지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고용률’, 일자리 상황을 더 자세히 들여다보는 ‘고용보조지표’, 그리고 산업이 사람들의 일자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는 ‘고용유발효과’에 대해 알아볼 거예요.
안녕하세요 다람다람입니다. 오늘 배울 용어들은 우리 일상생활과 아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요. 아빠, 엄마가 일하는 것도 고용률과 관련 있고, 은행에서 계좌를 만들 때도 KYC가 중요하답니다. 지금부터 하나씩 살펴보며 쉽게 이해해봐요!
1. 고객확인절차(KYC)는 왜 필요할까?
‘KYC’는 ‘Know Your Customer’의 줄임말로, 금융회사가 고객이 누구인지 정확히 확인하는 절차예요. 범죄나 돈세탁을 막기 위해 꼭 필요하죠.
예를 들어, 은행 계좌를 만들 때 신분증을 보여주고, 주소를 적는 것도 이 절차의 일부예요. 금융을 안전하게 지키는 첫걸음입니다!
2. 고용률은 얼마나 일하고 있나를 보여줘요
‘고용률’은 일할 수 있는 사람 중 실제로 일하고 있는 사람의 비율이에요. 숫자가 높을수록 많은 사람이 일을 하고 있다는 뜻이에요.
구분 | 의미 |
---|---|
고용률 높음 | 많은 사람들이 일하고 있음 |
고용률 낮음 | 일하지 않는 사람이 많음 |
3. 고용보조지표란?
‘고용보조지표’는 단순한 실업률로는 알 수 없는 숨겨진 일자리 상황까지 보여주는 지표예요. ‘진짜’ 일자리 상태를 더 정확히 알 수 있어요.
- 일하고 싶지만 구직활동을 안 한 사람
- 시간제 근로자 중 더 일하고 싶은 사람
4. 고용유발효과/취업유발효과는 무슨 의미일까?
‘고용유발효과’ 또는 ‘취업유발효과’는 어떤 산업이나 사업이 얼마나 많은 일자리를 만드는지를 보여주는 숫자예요. 쉽게 말해, “이거 하나 하면 몇 명이 일하게 될까?”를 계산하는 거예요.
예를 들어, 자동차 한 대를 만들면 부품 회사, 정비소, 세차장까지 많은 곳에서 사람이 필요해지죠? 이런 연결된 고용 효과를 알려주는 중요한 지표랍니다.
산업 예시 | 고용유발효과 |
---|---|
건설업 | 건축가, 기술자, 인부 등 다양한 일자리 발생 |
관광업 | 호텔, 음식점, 가이드 등 폭넓은 취업 유발 |
범죄 자금이나 돈세탁을 막기 위해서예요. 누가 돈을 거래하는지 정확히 알아야 금융이 깨끗해져요.
고용률은 실제로 일하고 있는 사람의 비율이고, 실업률은 일하고 싶지만 못하는 사람의 비율이에요.
네! 겉으로는 실업이 없어 보여도 숨은 실업이나 부족한 일자리를 확인할 수 있어요.
관광, 서비스, 건설 같은 산업은 많은 사람들의 손이 필요해서 고용유발효과가 커요.
이번 시간에는 금융의 기본이 되는 ‘KYC’, 일하는 사람의 비율을 나타내는 ‘고용률’, 숨은 실업까지 보여주는 ‘고용보조지표’, 그리고 산업이 일자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주는 ‘고용유발효과’까지 배웠어요. 이렇게 알게 된 개념들은 뉴스나 정책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거예요!
복잡하게 느껴지던 경제 용어들이 이제 조금은 친숙해졌나요? 우리 삶과 밀접한 단어들이 많으니 다음 시간도 기대해 주세요~
#KYC #고객확인절차 #고용률 #고용보조지표 #고용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 #쉬운경제 #초등경제 #노동지표 #경제상식